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브링 1000 마일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3년 세브링 1000 마일에 대한 내용은 월드 인듀어런스 챔피언십/2023시즌 문서
6번 문단을
월드 인듀어런스 챔피언십/2023시즌#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세브링 1000 마일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라운드서킷경기 이름날짜
1R파일:2024_WEC_QATAR.png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1812 km3월 2일
2R파일:2024_WEC_IMOLA.png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몰라 6시4월 21일
3R파일:2024_WEC_SPA.png파일:벨기에 국기.svg 스파 6시5월 11일
4R파일:2024_WEC_LE_MANS.png파일:프랑스 국기.svg 르망 24시6월 15일
5R파일:2024_WEC_SAO_PAULO.png파일:브라질 국기.svg 상파울루 6시7월 14일
6R파일:2024_WEC_COTA.png파일:미국 국기.svg 론스타 르망9월 1일
7R파일:2024_WEC_FUJI.png파일:일본 국기.svg 후지 6시9월 15일
8R파일:2024_WEC_BAHRAIN.png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8시11월 2일




슈퍼 세브링 위켄드
파일:12_Hours_of_Sebring_generic_logo.png
세브링 1000 마일세브링 12시

FIA WEC 세브링 1000 마일
FIA WEC 1000 Miles of Sebring
파일:1000_Miles_of_Sebring_logo.png
주최오토 클럽 드 뤠스트 (ACO)
창설 년도2019년
서킷파일:Sebring-International-Raceway_logo-330x93.webp
2023년 출전 드라이버(하이퍼카)
미정
(LMP2)
미정
(LMGTE)
미정
2023년 출전 컨스트럭터(하이퍼카)
미정
(LMGTE)
미정
엔진 공급 업체[ 2023 시즌 ]
(하이퍼카)
미정
(LMP2)
미정
(LMGTE)
미정
타이어 공급 업체[ 2023 시즌 ]
미쉐린[1], 굿이어[2]
차체 공급 업체[ 2023 시즌 ]
(하이퍼카)
멀티매틱[3], 달라라[4]
(LMP2)
오레카[5]
2023년 시즌 우승자(하이퍼카)[6]
파일:일본 국기.svg 코바야시 카무이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호세 마리아 로페즈
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크 콘웨이

(LMP2)
파일:독일 국기.svg 데이비드 베크먼
파일:중국 국기.svg 예 이페이
파일:영국 국기.svg 윌 스티븐스
(LMGTE-AM)
파일:미국 국기.svg 벤 키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니코 바로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니키 캐츠버그
2023년 우승 팀(하이퍼카)[7]
파일:일본 국기.svg 토요타 가주 레이싱 7번
(LMP2)
파일:영국 국기.svg 허츠 팀 죠타 48번
(LMGTE-AM)
파일:미국 국기.svg 콜벳 레이싱 33번
최다 종합 우승 드라이버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지마 카즈키
파일:프랑스 국기.svg 니콜라스 라피에르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티유 벡시비에르
파일:브라질 국기.svg 안드레 네그랑
파일:일본 국기.svg 코바야시 카무이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호세 마리아 로페즈
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크 콘웨이
각 1회
최다 종합 우승 컨스트럭터파일:일본 국기.svg 토요타 2회
공식 웹 사이트파일:1200px-FIA_WEC_Logo_2019.png
공식 소셜 미디어 채널파일:유튜브 아이콘.svg[8]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1000 Miles of sebring_2022.jpg
2022 세브링 1000 마일 스타팅 장면
1. 개요
2. 참가 클래스
3. 역사
3.1. 2019년
3.2. 2022년
3.3. 2023년
4. 여담




1. 개요[편집]


세브링 1000 마일 경기는 WEC 2018-19 시즌부터 캘린더에 편성된 내구레이스 경기이다. 추춘제였던 당시에는 후반기 시작 레이스였지만, 2021년 춘추제로 회귀한 뒤로는 시즌 개막전이 되었다.

이 경기와 함께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에 편성된 세브링 12시도 이어서 개최된다. 양 쪽 모두 참가하는 팀이나 드라이버는 세브링 1000 마일이 끝나도 남아서 세브링 12시 까지 치른다.

정오가 되면 마샬이 성조기를 흔드는데, 이 때 경기가 시작되어 하이퍼카 기준 268바퀴를 주행해야 한다. 그러나 이건 원칙적으로 그런 것이고 사고 등으로 경기가 늘어질 가능성은 존재하는데, 그렇기에 경기 시작 이후 8시간이 경과되면 남은 거리에 상관 없이 파이널 랩이 선언되며, 이 때 체커기를 받으면 순위가 확정된다.

2024년부터 WEC에서 제외된다.


2. 참가 클래스[편집]


WEC에 참가하는 모든 클래스가 참가한다. 처음으로 포함되었을 땐 LMP1, LMP2, LMGTE Pro, LMGTE Am 등 네 개 클래스가 출전하였지만 2020년부터 LMP1이 하이퍼카[9]로 바뀌고, 2023년부터 LMGTE Pro가 참가하지 않는다.


3. 역사[편집]



3.1. 2019년[편집]



3.2. 2022년[편집]



3.3. 2023년[편집]



4.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1 17:28:41에 나무위키 세브링 1000 마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하이퍼카 클래스, LMGTE 클래스 공급[2] LMP2 클래스 공급[3] 포르쉐 963[4] 캐딜락 V-LMDh[5] 오레카 07[6] 종합 우승[7] 종합 우승[8] FIA WEC 공식 유튜브 채널[9] 세브링 12시에 GTP로 참가 가능.